안녕하세요. 블갱입니다. 오늘의 이야기는 각종 질병으로 인해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으셔서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공유해보는 내용입니다. 특히나 주변에 연세가 좀 있으신 분들은 성인병 = 고혈압, 당뇨, 고지혈증, 혈관병, 등등 많은 질환을 앓고 계십니다. 그래서 식단 조절에 운동에 고생이 많으신데요. 이런 분들을 위해서 드시면 좋아지는 식품을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 식품을 어떻게 언제 얼마나 먹고, 부작용은 있는지 없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성인병에 좋은 식품은 "마늘" 입니다.
마늘
- 마늘이 왜 몸에 좋고,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게 되신다면 생각이 바뀌시게 될 겁니다.
- 마늘에 관한 정보는 아실만한 분들은 다 아실 겁니다. 논문이나 글도 엄청나게 많고, 효과가 없다는 내용보단 효과가 있고 좋다는 내용이 훨씬 많습니다. 마늘은 믿고 드시면 되겠습니다.
- 마늘은 요리로 드셔도 되고, 생으로 드셔도 됩니다. 이렇게 생으로 드시기 어려우신 분들은 보충제 같이 약으로도 나와있습니다.
반응형
마늘의 역사
- 기원전 4천 년 전 이집트에서 약으로 바르고 먹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. 그리스에서도 자양강장을 위해 통마늘을 섭취했다는 내용도 있습니다.
- 고대 중국과 인도에서는 기생충이나 기관지 관련 질병을 개선시키는 데 사용했다고 합니다.
- 그때부터 지금까지 사라지지 않고, 사용되고 먹어오게 된 식품입니다.
- 의학에서는 마늘은 관절에 좋은 영양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합니다.
- 혈액순환제에도 마늘 오일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.
마늘의 성분
- 황이 많이 들어 있는 황 화합물
- 폴리페놀-항산화 성분(소량의 비타민B와 미네랄들이 함유)
- 마늘의 핵심 성분은 황화합물로 불리는 알리신이라는 성분이 있습니다.
- MSM(식이유황) 같이 황을 공급해주는 인자로서 마늘이 활용되고 있습니다.
마늘의 효능
- 마늘 섭취 시 혈관을 이완시켜주는 작용이 있습니다. 혈관의 내피세포에 알리신등 황화합물이 신호로 전달되서 NO(나이트릭옥사이드)분비량을 증가시켜 준다고 합니다. 즉 혈관에 좋은 작용을 합니다.
- 마늘 섭취시 혈전억제 등을 통한 혈액순환 개선작용이 있습니다. 혈액이 끈적거리지 않고, 혈관을 잘 흘러나가는 정도의 농도를 만들어 주어서 혈액순환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.
- HMG-coa 효소를 억제시켜준다고 합니다. 즉 고지혈증을 개선시켜 준다고 알려졌습니다.
- 항염증을 위해서 작용을 하는데요. 만성염증 완화, 관절염 통증 완화 등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. 염증의 신호인 NF-kb를 억제시켜주는 것입니다. NF-kb = 염증과 암을 유발하는 전사 단백질입니다.
- 항산화 작용에 도움을 줍니다. 노화를 예방하고 피부건강과 무엇보다 혈관의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.
- 항균작용도 있습니다.
- 항암작용도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.
- 자양강장 기능이 있습니다.
마늘 섭취 시 주의사항
- 생으로 드실 경우 속 쓰림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.
- 혈전약을 드시는 분은 혈액이 더 묽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.
이렇게 좋은 식품 요즘은 입냄새 날까 봐 거의 드시질 않습니다. 특히나 40~50대 분들에게 마늘 하루 한쪽씩 16주만 드셔도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. 한 번에 많이 드신다고 한번에 좋아지는 것은 아니니 과섭취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. 건강에 도움을 드릴수 있는 마늘에 관한 이야기였습니다. 마지막까지 이 글을 읽어주신 분들에게 항상 행복한 일들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.
재물운 - 돈이 마르지 않는 지갑풍수
안녕하세요. 블갱입니다. 오늘의 이야기는 풍수지리 아이템 중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이야기 바로 지갑 풍수입니다. 필자 역시 이런저런 지갑 풍수를 실행해보고 있습니다. 확실히 큰돈은 못
algmolg.tistory.com
'잡학 상식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관상] 여성의 기운을 올려주는 관상 메이크업. (0) | 2021.10.10 |
---|---|
[관상] 품격있고 가치가 높은 여성의 관상. (0) | 2021.10.10 |
꿈해몽 - 과일 (0) | 2021.10.09 |
꿈해몽 - 공원,공작,과녁 (0) | 2021.10.09 |
[풍수지리] 재물운 - 돈이 마르지 않는 지갑풍수 (0) | 2021.10.09 |
댓글